1. 시즌 미국드라마의 시즌은 9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를 일컬음. 한 시즌이 캔슬되지 않고 풀시즌으로 방송 될 경우 대부분 22~24개의 에피소드를 방송하게 되는데 약 40주가 조금 안 되는 기간 동안 일주일에 한편씩 방송되는 경우가 대다수.
1-1. SEASON NO. 금년 9월에서 이듬해 5월까지 방송되는 24개의 에피소드를 하나의 시즌, 첫해라면 1시즌(5월 시즌 끝), 같은 해 9월은 2시즌 시작 미국 드라마는 미니시리즈나 단막극을 제외하고는 통상 장기간의 시즌 방영을 목표로 제작이 됨. 시청률이나 여타 사정에 따라 시즌 중간에 캔슬이 되는 경우가 있고 대책 없이 길어지는 경우도 있음. *5시즌 : 100 에피소드까지 방송이 되는 경우 100 에피소드 파티를 여는 것을 많이 보았을 텐데 '100'이라는 숫자가 갖는 의미도 크지만 차후 드라마 판매 등에서 5시즌까지 진행되었다는 것이 가지는 이점이 많다고 함. *미국 드라마는 시청률에 따라 존폐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시즌을 마무리 짓지 못하고 종방이 되는 경우도 많다.
1-2. 시즌 프리미어 시즌이 시작되는 첫 방송을 일컬음. 프리미어 일정은 방송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동시에 시즌을 시작하지 않고 1~2주일 정도 일찍 또는 늦게 방영을 하거나, 한꺼번에 또는 이틀에 걸쳐 2~4에피소드를 방영하는 등은 타 방송사와의 시청률 경쟁이나, 새로운 드라마를 방송함에 있어서 경쟁 없이 시청자를 확보하기 위한 눈치 싸움으로 사료 된다.
1-3. 시즌 피날레 시즌 마감을 하는 방송 다음 시즌을 기대하게 만드는 중요한 에피소드인 만큼 심혈을 기울이거나 대형 떡밥을 던지는 경우가 많다.
2. MidSeason? midseason replacement : 9월 말 가을 시즌이 시작되면 보통 한달 후부터 하차시킬 프로그램과 풀시즌을 주문할 프로그램을 정리하기 시작한다. 차후 시청률이 저조한 프로그램을 도중 하차시키고 대타를 등장시키는 것을 midseason replacement라고 함. 대게 가을 시즌 전에 파일럿이나 초기 몇 에피를 주문하고 시즌 시작을 하지 못한 것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고 함.
3. 휴방 9월 중순 ~ 5월 중순은 36~37주 정도 되는데 미드는 풀시즌을 받아도 에피소드 갯수가 22~24편(일주일에 한편씩)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12~13번은 휴방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휴방할 때는 무엇을 하느냐?! 큰 스포츠 행사나 큰 시상식 같은 걸 하는 경우도 있으나 자주하지 않으므로 휴방을 하면 거의 대부분이 재방으로 채워진다. 타 방송사에서 큰 스포츠 행사(예:슈퍼볼)나 큰 시상식을 할 경우에도 재방을 하기도 한다. 언제 휴방을 자주 하는지는 3-3을 읽어보길 바란다
3-1. 휴방 없는 드라마 최근에는 휴방 없이 24에피를 방송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각각의 에피소드로 사건이 마무리되는 형식이 아닌 드라마 전반적으로 큰 줄거리를 가진 드라마들이 그렇다. 예를 들어 '24'는 4시즌에 들어서서 휴방 없이 이듬해 1월에 프리미어를 시작하여 피날레까지 연속방영을 하기 시작했고 예전 '로스트'도 전반기-후반기를 나눠 연속방영을 하거나 아예 1월에 프리미어를 방송하여 연속방송을 했다.
3-2. 그럼 시즌의 나머지는 어떻게 하나? 시즌이 9월에 시작하기 때문에 1월까지 오랜 시간을 프라임 타임을 비워둘 수는 없다. 따라서 이 시기에 13편 정도를 제작한 신작드라마가 자리를 잡기도 한다. '24' 는 '프리즌 브레이크'가 시즌을 시작해서 13주를 책임진 후, 1월에 프리미어를 시작했고 '로스트'는 전-후반기를 나눠서 방송할 당시 그 중간을 '데이 브레이크'라는 드라마로 대신하였다. '프리즌 브레이크'는 대박을 쳐서 추가 주문을 받았고 '데이 브레이크'는 13에피로 종영
3-3. 대략적인 휴방 포인트 9월 말에 시즌을 시작해서 12월 첫째주나 둘째주까지 방송을 한다. 중간에 추수감사절이나 스포츠경기 같은 것으로 1~3회 정도 휴방 가능성이 있다. 연말에는 드라마 방송을 하지 않는다. 해를 넘기기 전에 거의 모든 드라마들이 10개 정도의 에피소드를 방영한다. 1월부터 3월까지 6~8개 정도 방송을 하고 (그래서 1~3월에는 휴방이 많다) 4월 중순부터 5월 말까지 쉬지 않고 6~8개 정도 방송을 하고 시즌을 종료한다. 이렇게 똑같이 진행되지는 않고 드라마마다 스케줄은 약간 다르다는 것도 유념해두길 바란다.
4. 공중파방송과 케이블방송 4-1. 공중파 방송 미국의 공중파방송은 CBS, NBC, ABC, FOX, The CW 총 5개채널이다.
4-2. 케이블 방송 케이블 : USA, TNT, Syfy, amc, FX, A&E, ABC Family, TVLAND, Lifetime 등이 있다 유료케이블 : HBO, SHOWTIME, starz
4-3. 케이블방송의 특이점 케이블은 공중파와 달리 공중파에서 방송을 안하는 시기인 6-8월에 많이 방송한다. 대부분 짧게 13개 정도 에피로 한시즌을 마치지만 인기작이라면 16~18편까지도 한다. 인기작이어서 길게 할 경우에는 6-8월에 방송을 하고 나머지 에피소드를 이듬해 초에 방송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꼭 공중파 휴방기에 하는 것은 아니고 케이블 방송사마다 천차만별이다.
4-4. 케이블 방송의 휴방 대체로 시즌이 길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 드라마들은 휴방이 없다. 휴방이 있어도 1~2회 정도로 아주 적다.
시즌을 반으로 나눠서 파트 1, 파트 2 식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2)_ "Season of the Hexenbiest"
미드 그림형제(Grimm)시즌2 12화는 줄리엣에게 주문을 걸었던 바로 그 'Hexenbiest'였었던 '애덜린드'가 에피소드를 장악 한다.
애덜린드에게 "Hexenbiest 였었던" 이라는과거형시제를 사용한 이유는 알듯...
지난 시즌 마지막 즈음에 '애덜린드'는 '그림 닉'의 피로 인하여 '마녀'의 능력을 잃고 보통인간이 되었기에 과거형 시제 사용...
모든 해프닝은 바로 'Hexenbiest였던 애덜린드'로 시작 하여 'Hexenbiest였던 애덜린드'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미드 그림형제(Grimm)시즌2 12화이다.
미드 그림형제(Grimm)시즌2 12화는 그림형제의 '"브레멘 음악대<Town Musicians of Bremen>"'의 한구절을 인용 하였다.
그림동화 브레멘 음악대<Town Musicians of Bremen>
브레멘 음악대<Town Musicians of Bremen>는 워낙 유명한 동화이기에 부수적인 설명은 필요 없을듯 하다.
"옛날 어느 시골의 농장에서 평생 주인을 위하여 성실히 일해 온 당나귀를 늙었다는 이유로 주인이 내다 팔려고 하게 된다.
당나귀는 브레멘시(市)로 달아나 유랑 악사가 되기로 하며 탈출을 하게 되고, 브레멘으로 가는 도중에 자신과 같은 처지에 놓인 늙은 고양이와개, 그리고 닭을 만나 함께 유랑 악단을 만든다.
이 네 마리의 동물들은 열심히 합창 연습을 하면서 길을 가던 중 마침 맛있는 음식과 따뜻한 불이 있는 집을 발견하게 되지만, 그곳에는 도둑들이 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어떻게든 이들을 내쫓아야겠다는 생각에 지혜를 모아 당나귀 위에 개, 고양이, 닭이 차례로 올라타고, 있는 힘을 다하여 소리 높여 합창을 하기 시작한다.
날카롭고 희한한 소리와 괴상한 모습에 깜짝 놀란 도둑들은 귀신이 나타났다며 달아나 버리고, 떠돌이 네마리 동물들은 마침내 함께 살 집을 얻게 된다." 라는 내용이다.
미드 그림형제(Grimm) 브레멘 음악대<Town Musicians of Bremen>
"오! 그 집에는 무시 무시한 마녀가 살고 있어요.
그 마녀는 제게 독을 뿌리고, 긴 손톱으로 저를 할퀴었어요."
라는 인용 구절만으로도 이번 미드 그림형제(Grimm)시즌2 12화의 에피소드를 설명 하는듯 하다.
3)_ 사랑을 이용하려는 者 와 사랑하는 이를 지키려는 者 ...
미드 그림형제(Grimm)시즌2 12화에서는 '꽃뱀(?)'과 '백마 탄 왕자'로 나뉠수 있을까?
꽃뱀과는 달리 줄리엣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 하려는 그림 '닉'의 사랑은 나의 마음을 애잔하게 만든다.
이제 휴방기에 들어가게 되는 미드 그림형제(Grimm)이기에 몇달간은 '닉'과 '줄리엣' 그리고 '레놀드'의 삼각관계를 그냥 혼자서 상상만 해야 할듯 하다.
과연 어디로 흘러가는 물줄기일지...
#_ 산타클로버 블로그에서 미드"그림형제(Grimm)" 감상하기
1_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보다는 '크롬(Chrome)'
동영상 재생 부분이나, 부팅면에서 "산타클로버"블로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보다는 '크롬(Chrome)'에 더 최적화 되어 있는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