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어린왕자와 여우의 대화"는 너무나 많이 회자되어 "어린왕자"를 읽지 않았을적부터 알고 있었을 만큼 유명한 대목이다.
여우가 나타난 것은 바로 그때 였다.
"안녕?" 여우가 말했다. "안녕?"어린왕자는 공손하게 대답하고 몸을 돌렸으나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난 여기 사과나무 밑에 있어." 좀전의 그 목소리가 말했다.
"넌 누구지? 정말 예쁘구나..." 어린왕자가 말했다. "난 여우야." 여우가 말했다. "이리 와 나하고 놀자. 난 정말로 슬프단다......" 어린왕자가 제안 했다. "난 너하고 놀수가 없어. 난 길들여 지지 않았거든" 여우가 말했다. "아! 미안해." 어린왕자가 말했다.
그러나 잠깐 생각해본 후에 그는 다시 말했다. "'길들인다'는게 뭐지?" "넌 여기 사는 애가 아니구나. 넌 무얼 찾고 있니?" 여우가 말했다. 어린 왕자가 말했다.
"난 친구들을 찾고 있어. <길들인다>는 게 무슨 뜻이지?" "그건 너무나 잊혀진 일이지." 여우가 말했다. "그건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야..." "관계를 맺는다?" "그래." 여우가 말했다.
"넌 아직 나에게 수많은 다른 꼬마들과 조금도 다를 바 없는 꼬마에 지나지 않아. 그러니 난 네가 필요 없어.
물론 너에게도 내가 필요 없겠고. 너에겐 내가 다른 수많은 여우들과 똑같은 여우 한 마리에 지나지 않을 테니까.
하지만 만일 네가 나를 길들인다면 우린 서로가 필요하게 된단 말이야. 넌 나에게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게 될 테니까..."
"이제야 좀 알 것 같군." 어린 왕자가 말했다. "나에겐 꽃이 하나 있는데 그 꽃이 아마 나를 길들였던 가 봐..." ˝그럴지도 모르지.˝ 여우가 말했다. ˝지구에는 별의별 일이 다 있으니까...˝ ˝아, 아니야! 그건 지구에서의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야.˝ 어린 왕자가 말했다.
여우는 몹시 궁금하여 어린 왕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다. ˝그럼 다른 별에서의 이야기를 하는 거니?˝ ˝그래˝ ˝그 별에도 사냥꾼들이 있니?˝ ˝아니, 없어.˝ ˝그거 참 재미있는데! 그럼 병아리는?˝ ˝없어˝ ˝그래... 역시 생각대로야. 나는 그 별에 갈 수 없겠는걸˝ 여우는 한숨을 내쉬었다.
그러나 여우는 곧 기운을 되찾아 하던 이야기로 다시 말머리를 돌렸다. ˝나는 날마다 똑같은 생활을 하고 있어. 내가 병아리를 쫓으면, 사람들은 나를 쫓지.
병아리들이 모두 비슷비슷해서 구별하기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들도 모두 그 사람이 그 사람으로 별로 다를 게 없어.
그래서 난 좀 심심해. 하지만 네가 나를 길들인다면 내 생활은 환하게 밝아질 거야.
다른 모든 발소리와 구별되는 발소리를 나는 알게 되겠지. 다른 발소리들은 나를 땅 밑으로 기어들어가게 만들 테지만,
너의 발소리가 들려 오면 나는 음악이라도 듣는 기분이 되어 굴 밖으로 뛰어나올 거야! 그리고 저길 봐. 저기 밀밭이 보이지! 난 빵은 먹지 않아. 밀은 내겐 아무 소용이 없는 거야. 밀밭은 나에게 아무것도 생각나게 하지 않아. 그건 서글픈 일이지! 그런데 너는 아름다운 금빛 머리카락을 가졌구나.
네가 나를 길들인다면 밀밭이 아주 멋지게 보일 거야! 누렇게 익어 가는 밀밭을 보면 너를 생각하게 될 테니까.
그리고 밀밭 사이를 스치는 바람 소리도 사랑하게 될 거야...˝
여우는 입을 다물고 어린 왕자를 오랫동안 쳐다보았다. ˝부탁이야... 나를 길들여 줘!˝ 여우가 말했다. ˝그래, 나도 그러고 싶어. 하지만 내겐 시간이 많지 않아. 친구들을 찾아야 하고 알아야 할 일도 너무 많거든.˝
어린 왕자는 대답했다.
˝우린 우리가 길들이는 것만을 알 수 있는 거란다.˝ 여우가 말했다.
˝사람들은 이제 아무것도 알 시간이 없어졌어. 그들은 가게에서 이미 만들어져 있는 것들을 사거든.
그런데 친구를 파는 가게는 없어. 그러니까 사람들은 이제 친구가 없는 거나 마찬가지지. 친구를 가지고 싶다면 나를 길들이렴.˝
˝어떻게 해야 하는 거지?˝ 어린 왕자가 물었다. ˝참을성이 있어야 해˝ 여우가 대답했다. ˝먼저 내게서 좀 떨어져서 이렇게 풀숲에 앉아 있는 거야.난 너를 힐끔힐끔 곁눈질로 쳐다볼 거야.
넌 아무 말도 하지 말아. 말은 오해의 근원이 될 수도 있으니까.
하루하루 날짜가 지나감에 따라, 너는 조금씩 나와 가까운 곳에 다가앉을 수 있게 될 거야...˝
어린 왕자는 다음 날 다시 왔다. "시간을 정해 놓고 오는 게 더 좋을 텐데." 여우가 말했다. "가령 네가 오후 네 시에 온다면, 난 세 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 거란 말이야.
그리고 시간이 가까워질수록 난 점점 더 행복해지겠지. 네 시가 되면, 그땐 이미 흥분해서 안절부절못하게 될 거야.
행복이 얼마나 값진 것이라는 걸 맛보게 될 거란 말이야.
하지만 네가 아무 때나 오면 난 몇시에 마음을 치장해야 할지 모르지 않겠어?... 규칙이 필요한 거라구." ˝규칙이 뭐야?˝ 어린 왕자가 물었다. ˝그것도 너무 자주 잊혀지는 거야.
그건 어느 하루를 다른 날들과 다르게 만들고, 어느 한 시간을 다른 시간들과 다르게 만드는 거지.
예를 들면 나를 따라다니는 사냥꾼들에게도 규칙이 있어. 그들은 목요일이면 마을의 처녀들과 춤을 추지.
그래서 목요일은 나에게는 신나는 날이지! 그날이 되면 난 포도밭까지 산책을 가기도 해.
그런데 사냥꾼들이 아무 때나 춤을 추면, 하루하루가 모두 똑같이 되어 버리잖아. 그럼 난 하루도 휴가가 없게 될 거고..."
이렇게 해서 어린 왕자는 여우를 길들였다. 떠날 시간이 가까워지자, 여우가 말했다.
"난 울고 싶어... 그건 네 탓이야."
어린 왕자가 말했다. "난 너를 괴롭힐 마음은 조금도 없었는데, 네가 나보고 길들여 달랬기에..." "물론이지." 여우가 말했다. "하지만 넌 울려고 하잖아." 어린 왕자가 말했다. "물론이지." 여우가 말했다. "그럼 넌 얻은 것이 하나도 없잖아!" "얻은 게 있어." 여우가 말했다. "밀밭 색깔 때문에."
그리고 나서 그는 덧붙여 말했다. "가서 장미를 다시 봐. 그럼 넌 네 꽃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다는 걸 알게 될 거야.
그리고 나서 다시 돌아와 작별해줘. 비밀 하나를 선물해 줄게."
어린 왕자는 장미꽃들을 다시 보러 갔다. "너희들은 내 장미하곤 닮은 데가 없어. 너희들은 아직 아무것도 아냐."그가 꽃들에게 말했다. "아무도 너희들을 길들이지 않았고, 너희들도 누구 하나 길들이지 않았어.
너희들은 지난날의 내 여우와 같아. 내 여우도 전엔 수많은 다른 여우들과 똑같았었지.
하지만 내가 친구로 삼았으니까 이젠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여우가 된거야."그 말에 장미꽃들은 거북해했다. 그는 또 말했다. "너희들은 아름다워. 하지만 텅 비어 있어. 너희들을 위해 죽을 사람은 없으니까.
물론 내 장미도 지나가는 사람의 눈에는 너희들과 비슷 하게 보이겠지. 하지만 그 꽃 하나만으로도 너희들 전부보다 더 중요해.
그건 내가 그 꽃에 물을 주고 고깔을 씌워 주고 병풍으로 바람을 막아 주었기 때문이야.
또, 내가 벌레를 죽여 주고(나비를 위해 두세 마리 남겨 두었지만) 날 원망하는 소리도 들어주고
또, 때로는 입을 다물고 있는 것까지도 들어 준 꽃이기 때문이야. 한 마디로 그건 내 꽃이기 때문이야."
그리고 나서 그는 다시 여우에게로 돌아왔다.
"잘 있어." 그가 말했다. "잘 가." 여우가 말했다.
"내 비밀은 이거야. 아주 단순한 거지. 마음으로 보아야만 잘 보인다. 본질적인 것은 눈에 안 보인다는 거." "본질적인 것은 눈에 안 보인다." 어린 왕자는 그 말을 잊지 않으려고 되뇌었다. "너의 장미가 그처럼 소중하게 된 건, 네가 네 장미를 위해 소비한 시간 때문이야." "내가 내 장미를 위해 소비한 시간 때문에..." 그는 그 말을 잊지 않으려고 되뇌었다. "사람들은 이 진리를 잊어버렸지." 여우가 말했다. "하지만 넌 잊지 마. 넌 언제나 네가 길들인 것에 대해 책임감을 느껴야 해. 넌 네 장미에게 책임감을 느껴야 해..." "난 내 장미에게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 잊지 않으려고 어린 왕자는 되뇌었다.
어린왕자의 여우와의 대화 부분은 많은 이들에게 나름대로의 지침서가 되었었던 기억...
"작업"(?)의 기본매뉴얼로 사용한 친구도 있었고, 인간관계의 지침서로 사용한 친구도 있었다.
어린왕자 하면 떠오르는 단어들...
소행성 B612, 바오밥나무, 보아뱀, 여우, 장미, 가로등 켜는 사람...등등
아직도, 어린왕자를 연상하면 자연스레이 줄줄 쏟아져 나오는 단어들이다.
하고 많은 연상 되는것들중 왜? 주정뱅이와의 대화가 불현듯 떠올랐을까?
회식중 직원들의 대화를 듣다 불현듯 떠오르기 시작한 "어린왕자와 주정뱅이"의 대화내용....
농담 삼아,
술자리에서 "넌 술 왜 마시냐?"라는 질문을 받으면
"술 마시는게 부끄러워서..."라며 맞받아 치기도 했었는데....
어린왕자의 의문이 맞는듯 하다. "정말 어른들은 이상하다."
모순 되는 일임에도 당연한듯이 행하는 우리네들...
모순의 극치를 보여 주는 한 단면이 "어린왕자와 주정뱅이"의 저 대화가 아닐까?
그만큼 내 자신이 부끄러운게 많아져서 일까?
아님, 그만큼 내가 잊고 싶은것이 많아져서일까?
어린왕자는 과연 알까? 어른들이 왜 이렇게 이상해졌는지.....
술 마시는게 부끄러워 술을 마신다는 주정뱅이나,
사랑 하기에 떠나 보내준다는 이들이나,
"무소유"를 주장하며 더이상 자신의 책을 판매 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저 세상으로 간것이 정말 무소유를 실천 한것일까? 아닐까?를 생각케 만드는 법정스님이나,
"국민들이 원해서 그리고, 위해서 정치에 뛰어 듭니다."라고 개나발 부는 짜가 정치인들이나...
<짜가들은 제발 "내가 원해서 그리고, 나자신을 위해서 콩고물 뜯어 먹으러 정치판 뛰어 듭니다"로 바꿔라>
그냥 언어의 유희 일까?
어떤면에서는
'어린왕자"속의 주정뱅이에게는 어리숙 하지만, 순수함이라는 희망이나 기대 한다지만,
자신의 부끄러움을 모르는 나 같은 작자에게서는 어떤 희망이 보일까?
술 마시는 부끄러움을 잊기 위해 술을 마시는 "어린왕자"속의 주정뱅이 마냥,
모순으로 똘똘 뭉친 내자신을 취중택시 안에서 만월이 되어가는 달을 보며, 생각에 잠겨 본다.